[DBR 동아비즈니스리뷰]당신의 메일이 읽히지 않는 이유_2024.2월호_이수민 대표

이수민 대표가 연재하는 [DBR 동아비즈니스리뷰]의 [세일즈커뮤니케이션편]의 2024.2월호(386호) 주제는 ‘당신의 메일이 읽히지 않는 이유’ 입니다.

읽는 사람들에게 감정을 유발하지 않는 글은 쉽게 잊히는 정보가 됩니다. 따라서 고객과 커뮤니케이션하는 글에서는 독자의 불쾌감은 줄이고 쾌감은 극대화해야 합니다. 

특히 도입부에 고객의 필요와 관심사를 반영하는 것은 글을 읽는 고객으로 하여금 쾌감을 주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불특정 고객이라도 관심을 가질 주제로는 수익성 향상, 생산성 증대, 비용 절감, 갱졍력 강화등이 있습니다.

왜 기억에 오래 남는 것들이 있을까요?
키워드는 ‘감정’입니다.
감정에 물들지 않는 기억은 없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감정을 활용하여, 고객이 당신 글에서 쾌감을 느끼게 하려면 어떻게 작성해야 할까요? 읽을 가치가 있다는 것을 도입부에서 명확히 보여줘야 합니다.

자세한 사례와 내용은 아래 DBR 홈페이지 링크에서 확인해주세요.
저작권 문제로 전문을 보여드리지 못하는 점,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https://dbr.donga.com/article/view/1202/article_no/11163

그냥 [세일즈 리더십] 말고 [효과적으로 기억하고 행동하게 하는 세일즈 리더십 과정]이 필요하신 분은 연락주세요!

이수민 소장/ 대표
SM&J PARTNERS
sumin@smnjpartners.com
Tel. 0507-1327-2597

《이제 말이 아닌 글로 팔아라》. 《좋은 강사가 되고 싶은가요?》 저자
DBR(동아비즈니스리뷰) 칼럼니스트

[한국 IR 협의회]비즈니스 글쓰기 실력을 높여주는 가장 확실한 방법_2023.12월호_이수민 대표

이수민 대표가 연재하는 [IR 협의회] 월간지 [IR Focus]의 2023.12월호 주제는 ‘비즈니스 글쓰기 실력을 높여주는 가장 확실한 방법’ 입니다.

비즈니스를 하기 위해서는 제안서, 발표자료, 보고서, 이메일 등 글을 써야 할 일이 많습니다. 어느 것 하나 허투루 작성할 수도 없습니다. 성과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죠. 비즈니스 글쓰기 실력을 빨리 올리고 싶다면 어떤 방법이 효과적일까요?

처음부터 글을 잘 쓰는 사람은 없습니다. 물론 글쓰기에 재능이 있는 사람도 있고,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습니다. 하지만 글쓰기 실력을 높이기 위한 조건은 누구에게나 동일합니다. 바로 연습 시간입니다.

엉덩이를 붙이고 글을 쓰는 시간만큼 글쓰기 실력이 늘어난다는 의미입니다. 글을 쓰는 시간이 많을수록 글쓰기 실력은 좋아집니다. 그런데 모든 스킬 학습에는 성장 속도를 빠르게 하는 한 가지가 더 있습니다.

바로 글쓰기 연습 전략입니다. 어떤 전략을 가지고 글쓰기 연습을 하느냐가 성장 속도에 많은 영향을 줍니다. 글쓰기에 빨리 능숙해지고 싶다면 글쓰기 연습을 전략적으로 합시다. 비즈니스 글쓰기 실력을 빠르게 높여주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

이번 칼럼에서는 비즈니스 글쓰기 실력을 높여주는 가장 확실한 방법 5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전략 1. 질(質)보다 양(量)을 추구한다.
전략 2. 실수에 대한 피드백을 최대한 많이 한다.
전략 3. 자신만의 글쓰기 자원 창고를 만들어 관리하자.
전략 4. 창조적으로 모방한다.
전략 5. 늘 배우고 익힌다.

자세한 사항은 첨부 파일을 참조해주세요.

그냥 [세일즈 리더십] 말고 [효과적으로 기억하고 행동하게 하는 세일즈 리더십 과정]이 필요하신 분은 연락주세요!

이수민 소장/ 대표
SM&J PARTNERS
sumin@smnjpartners.com
Tel. 0507-1327-2597

《이제 말이 아닌 글로 팔아라》. 《좋은 강사가 되고 싶은가요?》 저자
DBR(동아비즈니스리뷰) 칼럼니스트

[한국 IR 협의회]고객이 쉽게 이해하는 글을 쓰고 싶다면_2023.11월호_이수민 대표

이수민 대표가 연재하는 [IR 협의회] 월간지 [IR Focus]의 2023.11월호 주제는 ‘ 고객이 쉽게 이해하는 글을 쓰고 싶다면’ 입니다.

세일즈 글의 종류는 제품과 서비스의 개수만큼 다양합니다.
하지만 목적은 결국 한 가지로 귀결됩니다.
고객의 마음을 움직여 구매하게 만드는 것이죠.

어떤 글이 마음을 움직일 수 있을까요?
바로 이해하기 쉽고 이미지가 쉽게 떠오르는 글입니다 .
이번 칼럼에서는 이해하기 쉽고 이미지가 쉽게 떠오르는 글쓰기를 하기 위해 필요한 3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1. 고객의 눈높이에서 고객의 언어로 작성하자.
2. 연결의 지름길, 비유를 활용하자.
3. 마음이 가는 길의 시작, 이미지를 쉽게 떠올릴 수 있게!

자세한 사항은 첨부 파일을 참조해주세요.

그냥 [글쓰기] 말고 [효과적으로 기억하고 행동하게 하는 세일즈 글쓰기 과정]이 필요하신 분은 연락주세요!!

이수민 소장/ 대표
SM&J PARTNERS
sumin@smnjpartners.com
Tel. 0507-1327-2597

《이제 말이 아닌 글로 팔아라》. 《좋은 강사가 되고 싶은가요?》 저자
DBR(동아비즈니스리뷰) 칼럼니스트

[KOFIH]조직관점의 MBTI 활용 워크숍

이수민 대표는 2023. 11월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KOFIH) 직원들을 대상으로
<조직관점의 MBTI 활용 워크숍>을 진행했습니다.

팀장과 팀원들이 함께 참여한 <조직관점의 MBTI 활용 워크숍>은
일터에서 서로를 좀 더 이해하고 협력하는데 유용하도록
저희 SM&J 가 세심하게 설계하고 진행했습니다.

특히 SM&J 가 개발한 <조직관점의 MBTI 활용 워크숍>은
참가자들이 적극적으로 상호 유형을 예측하고 발견하는 ‘탐구식 수업’으로 진행함으로써,
학습 호기심 및 효과성을 최대화 했습니다.

“나는 언제 강점을 발휘할까요?”
“나는 언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까요?”
“우리팀 A 주임은 언제 강점을 발휘할까요?”

이런 질문에 답하다 보니
자신을 이해하고 팀원들을 이해하여
조직내 소통활성화 향상 방안을 자연스럽게 만들게 되었죠.

즐거운 팀빌딩이 되었다고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직원들이 자신을 이해하고 팀원들을 이해하여
조직내 도출한 소통활성화 향상 방안을 실행하고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그냥 MBTI 워크숍 말고,
《조직기반의 MBTI 활용 워크숍》이 필요하신 담당자는 연락주세요.~

이수민 소장/ 대표
SM&J PARTNERS
sumin@smnjpartners.com
Tel. 0507-1327-2597

《이제 말이 아닌 글로 팔아라》. 《좋은 강사가 되고 싶은가요?》 저자
DBR(동아비즈니스리뷰) 칼럼니스트

[기아]전략프레임을 활용한 프로젝트 컨셉 도출 과정

이수민 대표는 2023.10월 기아의 전략 및 관련 분야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전략프레임을 활용한 프로젝트 컨셉 도출 과정]을 2일간 (13H) 강의했습니다.

전략수립 역량을 향상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전략 Tool을 학습하고 실습했습니다.특히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액티비티와 피드백으로 재미있고 의미있게 진행했습니다.^^

전략수립(Shaping Strategy) 과정은 2018년부터 현대차에서 6년째 진행하고 있는데요, 2023년에는 기아에도 도입하여 진행했습니다.

이수민 대표의 전략과정은 유익하고 효용성 높은 교육으로 좋은 평가를 받아온 만큼 어려운 전략의 개념을 쉽게 전달할 뿐만 아니라, 현업에 도움이 되고 현장적용성이 높도록 진행했습니다.

특히, 전략캔버스 Tool비즈니스 모델 캔버스(BMC)을 활용하여 실습과 피드백 중심으로 진행했습니다.

교육과정에 참여했던 분들은 다음과 같은 피드백을 남겨 주셨어요~

기아 직원들의 전략수립역량이 더욱 향상되어 지속적으로 글로벌 탑티어 기업이 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그냥 전략 과정 말로 [전략프레임을 활용한 프로젝트 컨셉 도출 과정]이 필요하신 담당자는 연락주세요~!

이수민 소장/ 대표
SM&J PARTNERS
sumin@smnjpartners.com
Tel. 0507-1327-2597

《이제 말이 아닌 글로 팔아라》. 《좋은 강사가 되고 싶은가요?》 저자
DBR(동아비즈니스리뷰) 칼럼니스트

[DBR 동아비즈니스리뷰]남성에겐 ‘팩트’를 제공하고, 여성에겐 ‘경험’을 공유하라_2023.10월호_이수민 대표

이수민 대표가 연재하는 [DBR 동아비즈니스리뷰]의 [세일즈커뮤니케이션편]의 2023.10월호(379호) 주제는 ‘남성에겐 ‘팩트’를 제공하고, 여성에겐 ‘경험’을 공유하라’ 입니다.

남성과 여성은 호르몬 차이로 인해 정보를 다르게 처리합니다. 남성호르몬을 대표하는 테스토스테론은 목표 달성에 공격적으로 집중하게 만드는 호르몬이죠. 빠르고 체계적인 정보 처리를 중시합니다. 이에 반해 여성호르몬을 대표하는 에스트로겐은 감성 공유와 의사소통에 강점을 보입니다.

세일즈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남성에게는 객관적 정보, 여성에게는 주관적 경험을 강조해야 하는 이유이죠. 성호르몬은 남성, 여성 모두에게 분비되는 것이므로 개개인의 성향에 주목해야 할 필요도 있습니다.

남녀의 차이를 세일즈 글쓰기에 어떻게 반영할 수 있을까요? 다음의 두 가지 차이를 고려하여 글을 써봅시다.

1. 선호하는 정보 형태가 다르다. 남성에게는 객관적 정보, 여성에게는 주관적 경험을!

남성 고객에게는 정보의 객관성을 강조할 필요가 있어요. 반면 여성 고객에는 제품을 사용한 다른 사람의 리뷰 제공이 효과적입니다.

2. 구매에 작용하는 가장 큰 힘이 다르다. 남성은 성취감, 여성은 관계를!

남성 고객을 대상으로 세일즈를 한다면 먼저 ‘구매 필요성’을 강조해야 합니다. 제품 구입을 그들의 사냥 목표로 만들어야 한다는 말이죠. 반면 여성 고객에게는 제품에 대한 논리적 설득 이전에 신뢰 관계를 먼저 만들어야 해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DBR 홈페이지를 참조해주세요. 저작권 이슈로 PDF 파일은 공유하지 못하는 점, 양해 부탁드려요.

https://dbr.donga.com/article/view/1202/article_no/11041/ac/magazine

그냥 [세일즈 리더십] 말고 [효과적으로 기억하고 행동하게 하는 세일즈 리더십 과정]이 필요하신 분은 연락주세요!

이수민 소장/ 대표
SM&J PARTNERS
sumin@smnjpartners.com
Tel. 0507-1327-2597

《이제 말이 아닌 글로 팔아라》. 《좋은 강사가 되고 싶은가요?》 저자
DBR(동아비즈니스리뷰) 칼럼니스트

[금융투자교육원]잡 크래프팅을 통한 직무몰입 방안

이수민 대표는 2023.10월 국내 최고의 금융투자교육기관 [금융투자교육원]이 주관하는 [금융투자 HR 실무] 세미나에서 금융기관의 HR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잡 크래프팅(Job Crafting)을 통한 직무몰입 방안]에 대해 특강을 진행했습니다.

내 일의 의미와 가치를 찾는 것이 더 중요해졌습니다.
개인과 조직 모두에게요.
일하는 방식이 바뀌고 세대의 가치관이 변하고 있기 때문이지요.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여 약 20여분의 HR 실무자들과 개인 직무 수준에서 잡 크래프팅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이를 실현할 수 있는 조직 수준의 리더십 방안과 교육과정에 대해 나누었습니다.

구글 사례와 저희 SM&J가 진행했던 사례 등을 통해 조직에서 직원들의 잡 크래프팅을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도 함께 전달해드렸습니다.

그동안 SM&J 가 진행했던 잡 크래프팅 교육과정의 핵심내용을
맛보기 액티비티를 함께 해보고 전달했습니다.

재미있고 유익한 워크샵이었다는 피드백을 주셨네요.

기업에 잡 크래프팅 도입을 고민하시는 HR 실무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인사이트를 드렸던 시간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일의 의미를 인식하고 업무가치를 높여주는 잡 크래프팅 과정’이 필요하신 분들은 언제든 연락주세요~.

이수민 소장/ 대표
SM&J PARTNERS
sumin@smnjpartners.com
Tel. 0507-1327-2597

《이제 말이 아닌 글로 팔아라》. 《좋은 강사가 되고 싶은가요?》 저자
DBR(동아비즈니스리뷰) 칼럼니스트

[효성인력개발원]일의 의미를 인식하고 업무 가치를 높여주는 잡 크래프팅

이수민 대표와 백수진 박사는 2023. 5월 ~ 9월까지
효성그룹 사원 약 400명을 대상으로
[일의 의미를 인식하고 업무 가치를 높여주는 잡 크래프팅] 과정을
1일 8시간 과정, 11차수로 나누어 강의했습니다.

내 일의 의미와 가치를 찾는 것이 더 중요해졌습니다.
개인과 조직 모두에게요.
일하는 방식이 바뀌고 가치관이 변하고 있기 때문이지요.

– 내 일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 내 일은 동료,팀,회사,고객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을까요?
– 내 일은 나의 가치를 실현하고 있나요?
– 나의 과업 목표는 무엇으로 정해야 내 일의 의미를 실현할 수 있을까요?
– 내 일의 의미를 실현할 수 있는 관계는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요?

참가자들은 잡 크래프팅을 통해 일의 의미를 인식하고 과업과 관계를 만들어
내 일의 가치를 높일 수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업무에 몰입하고 업무 만족도 또한 높일 수 있죠.

효성그룹 사원들이 SM&J와 함께 진행하는 특별하고 다양한 액티비티와 성찰 활동을 통해
자신의 일에서 의미를 찾고 일의 가치를 높일 수 있었습니다.

참가자들은 다음과 같은 피드백을 주셨어요.

일에서 얻은 몰입과 만족도를 통해
효성그룹을 글로벌 넘버원 그룹으로 견인하는데 기여하여
개인과 조직 모두 성장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그냥 [잡 크래프팅] 말고
[일의 의미를 인식하고 업무 가치를 높여주는 잡 크래프팅]이 필요하신 분은 연락주세요!

백수진 박사
SM&J PARTNERS
sjbaik@smnjpartners.com
Tel. 0507-1327-2597

《밀레니얼 세대를 위한 잡 크래프팅》 칼럼 저자
DBR(동아비즈니스리뷰)

[대한체육회]MBTI 기반 개인-조직간 효율적 커뮤니케이션 과정

이수민 대표는 2023. 8월 ~ 9월에 걸쳐
대한체육회 소속 협회 직원들 약 50명을 대상으로
< MBTI 기반 개인-조직간 효율적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2차수로 나누어 강의했습니다.

<MBTI 기반 개인-조직간 효율적 커뮤니케이션>은
일터에서 서로를 좀 더 이해하고 협력하는데 유용하도록
워크숍을 설계하고 진행했습니다.

특히 SM&J가 개발한 MBTI 활용 워크숍은
참가자들이 적극적으로 상호 유형을 예측하고 발견하는 ‘탐구식 수업’으로 진행함으로써,
학습 호기심 및 효과성을 최대화했습니다.

청강하던 대한체육회 소속 직원분들이 교육과정이 재미있어서
즉시 온라인 MBTI 검사에 참여하고
교육 내용에 더 몰입하시기도 했답니다~

대한체육회의 소속 협회 직원들이 자신을 이해하고 팀원들을 이해하여
조직내 소통활성화 향상 방안을 도출하고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그냥 MBTI 워크숍 말고,
《조직기반의 MBTI 활용 워크숍》이 필요하신 담당자는 연락주세요.~

이수민 소장/ 대표
SM&J PARTNERS
sumin@smnjpartners.com
Tel. 0507-1327-2597

《이제 말이 아닌 글로 팔아라》. 《좋은 강사가 되고 싶은가요?》 저자
DBR(동아비즈니스리뷰) 칼럼니스트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참여자의 몰입을 이끄는 강의스킬

이수민 대표는 2023. 7월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KAP)의 자문위원,전문위원과 직원들 약 40여명을 대상으로
[참여자의 몰입을 이끄는 강의스킬]의 주제로 특강을 진행했습니다.

자문위원과 전문위원님들이 자동차 부품사 자문, 지도, 강의시에
참여자들과 라포를 형성하고 어텐션을 끌어올릴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에 대해 전달했습니다.

특히 이수민 대표의 저서인 “좋은 강사가 되고 싶은가요?”를 기반으로
어텐션, 라포형성, 장기기억으로 가는 길에 포커싱하여 강의했는데,
집중력있게 들어주시고 좋은 피드백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최근에 2쇄를 찍은 이수민 대표의 [좋은 강사가 되고 싶은가요?] 저서는
꾸준히 사랑을 받는 도서입니다. 읽은 분들은 너무 도움이 되었다고 말씀해주십니다.

최근에 읽으신 분도 교보문고 사이트에 적극 추천해주셨네요^^.

아무쪼록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의 자문위원/전문위원들의 스킬과 역량 향상에 도움이 되고
자동차 부품사들에게 자문/전문위원들의 노하우와 스킬이 잘 전달될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그냥 [강사양성과정] 말고 [좋은 강사가 되는, 효과적으로 기억하게 하는 강의스킬과 사내강사과정]이 필요하신 담당자는 연락주세요~

이수민 소장/ 대표
SM&J PARTNERS
sumin@smnjpartners.com
Tel. 0507-1327-2597

《좋은 강사가 되고 싶은가요?》, 《이제 말이 아닌 글로 팔아라》 저자
DBR(동아비즈니스리뷰) 칼럼니스트